본문 바로가기

고매의 기록

(187)
[Docker] 2. 컨테이너 기반 기술 :: 리눅스 chroot 기능 활용 로그인만 console에서 해주고 mobaXterm 접속 newroot로 파일 시스템이 격리 됐음 완전히 격리된 root를 제공해주고 있음. 리눅스 커널의 namespace 기능으로 특정 프로세스에게 이러한 기능을 지원한다. namespace라는 개념은 사실 아주 광범위한 단어이다. 쓰이는 문맥에 맞게 해석을 해야하는데, 쿠버네티스의 namespace 리눅스 커널의 namespace 그 외 Language별로 (JAVA 등)의 namespace 등등 무언가 격리를 해주는 느낌의 단어이다. UNSHARE 명령 run program with some namespaces unshared from parent unshare -m 명령을 사용하여 mount namespace를 격리 -m : 마운트 마운트라는 개념..
[Docker] 1. Oracle VM VirtualBox 설치 도구 -> 네트워크 선택 이제 머신 -> 추가 -> 파일 추가 저기 줄 3개짜리 클릭해서 스냅샷 클릭 확인하기 시작 클릭하면 VM intro가 뜨면서 요렇게 나옴 root / edu 로그인 후 ping 테스트까지 완료
[머신러닝] 사이킷런(sklearn)의 DecisionTreeClassifier(결정트리분류기)이란? 1. 정의 결정 트리 분류기 는 분류 문제에 사용되는 간단한 기계 학습 모델이다. 분류에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기계 학습 모델 중 하나이지만 제대로 수행되고 우수한 교육 데이터가 있으면 일부 작업을 해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 Decision Tree is a simple representation for classifying examples. It is a Supervised Machine Learning where the data is continuously… medium.com The Basics: Decision Tree Classifiers An intuition for how decision trees work and are bu..
[Spring boot] VSCODE 웹 프로젝트 war 파일 AWS로 배포하기 (1) AWS 인스턴스 생성 회사 홈페이지를 만든 후, AWS로 배포를 하게 되었다. 소요 시간은 도메인을 미리 사뒀다는 전제하에 삽질 포함 정확히 이틀정도 걸렸음. 또 하라하면 도메인이 바로 적용된다는 전제하에 반나절 컷 가능할듯 ㅋ 아무튼 블로그에 쓰는건 추후 배포할 때 까먹지 않기 위해 하는 기록임 AWS에 배포를 한다는 의미는 아주아주 쉽게 얘기해서 "가상 컴퓨터를 AWS(클라우드)에 만들고, 해당 가상 컴퓨터에 나의 프로젝트를 저장시킨 후 서버를 자동으로 가동시켜주며 도메인과 연결해주는 네임서버를 발급해줌" 이다. 나는 멍충이라 이걸 이해하는데에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ㅋㅎ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왼쪽 상단 서비스에 들어가서 EC2 클릭 인스턴스 시작 클릭 여기서부터 좀 갈리는데 프리티어인 Amazon Li..
[Android/Kotlin] Firebase Authentication 로그인 성공! 안드로이드 인스타그램 클론 코딩 중. 1. Firebase 연동 완료 2. LoginActivity.kt에 Firebase Email 및 Password 처리 로직 작성 package com.hs.howlstagram_f1 import android.content.Intent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widget.Toast import com.google.firebase.auth.FirebaseAuth import com.google.firebase.auth.FirebaseUser import com.google.firebase.auth.* import kotlinx.and..
[Android/Kotlin] Class import가 안 될 때 방법 :: Gradle Kotlin extension Class를 import 해오고 싶은데, import가 안 될 때? kotlin-android-extensions을 build.gradle(Module)의 plugins에 추가해준다. 1. bulid.gradle에 들어가서 2. kotlin-android-extensions 플러그인 추가 3. 사진에 표시된 Sync Now 클릭 import kotlinx.android.synthetic.main.activity_login.* 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원래 import 되지 않아서 빨간색이던 변수가 정상적인 컬러(?)로 돌아온당 ㅠㅠ
[Android/Kotlin]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Gradle View 에서 Task 목록이 안보일 때 & Firebase 설정시 SHA 1 값 쉽게 알아내는 방법 Ahㅏ... 엄청난 삽질 끝에 갓 블로거님의 글을 발견하여 ... 쉽게 해결하였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SHA1 값을 조회하기 위해 인터넷에 검색한데로 Gradle view 목록에 있는것들중 signingReport 를 실행할려고 했는데 아무리 봐도 그런게 안 보였다. 검색해 보니 4.2 로 업데이트 되면서 성능상 문제라나 뭐라 그래서 디폴트로 안보이게 처리를 했다고 한다. 뭔 이유가 있어서 안보이게 했겠지만 굳이 다시 보이게 하고 싶다면 File - Settings - Experimental 에 가서 Do not build Gradle..
[Kaggle] Python으로 런던 자전거 수요 예측해보기 :: (4) 시그마 이상치 제거 자, 이제 어느정도 데이터가 이런식으로 굴러가는구나~~ 느낌이 왔으니, 이제 데이터에 조작을 좀 해보겠습니다. 이상치를 제거해보려고 하는데요. 이상치 제거 전과, 제거 후 사이의 값 갯수가 약 150개? 정도 차이가 나죠 근데 아웃라이어 제거(=시그마 이상치 제거; Remove Outlier Data)가 뭔데..? 뭐야... 말이 왜이렇게 어려운데?!?!?! 이 기술은 케글(Kaggle)에서 상위 랭크로 올라가려면 꼭 필요한 기술 중 하나라고 하네요. 그래서 저도 공부해보았습니다. ■ 데이터 이상치 탐지(Data Outlier Detection) 말 그대로 이상이 있는 데이터를 뜻합니다. 일반적인 데이터 패턴과 다르게, 매우 이상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뜻합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에서는 이러한 이..